최근 변경
최근 토론
특수 기능
파일 올리기
작성이 필요한 문서
고립된 문서
분류가 되지 않은 문서
편집된 지 오래된 문서
내용이 짧은 문서
내용이 긴 문서
차단 내역
RandomPage
라이선스
IP 사용자
3.138.137.244
설정
다크 모드로 전환
라이트 모드로 전환
로그인
진행 중인 사용자 토론이 있습니다.
여기를 눌러 알림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[공지]
openNAMU 계정 이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.
the tree
(편집 요청)
토론
ACL
알림
현재 진행 중인
사용자 토론
이 있습니다.
[오류!]
[알림]
문서를 편집할 권한이 없기 때문에 편집 요청으로 이동되었습니다.
편집 권한이 부족합니다. 로그인된 사용자(이)여야 합니다. 해당 문서의
ACL 탭
을 확인하시기 바랍니다.
RAW 편집
미리보기
[[분류:the tree]] [include(틀:위키 엔진)] ||<-2><table align=right><tablewidth=400><tablebordercolor=#251f48><tablebgcolor=#ffffff,#2d2f34><tablecolor=#fff><colbgcolor=#251f48> {{{+1 '''the tree'''}}} || ||<colbgcolor=#251f48> '''종류''' ||[[위키 엔진]] || || '''주요 언어''' ||<colcolor=#373a3c,#dddddd>[[Node.js]] || || '''지원 문법''' ||[[나무마크]] || || '''지원 언어''' ||[[한국어]] || || '''개발자''' ||[[https://github.com/wjdgustn|정현수]] || || '''라이선스''' ||비공개 || || '''최신 버전''' ||v1.0.0 || ||<-2><bgcolor=#fff,#2d2f34><color=#373a3c> [[https://github.com/wjdgustn/thetree|GitHub]] | [[https://testwiki.hyonsu.com|테스트위키]] || ||<-2>|| [목차] [clearfix] == 개요 == the seed를 모방하여 만든 위키 엔진. == 역사 == * 2024년 11월 7일: 첫 커밋이 올라왔다. * 2024년 12월 28일: 코스모피디아에 적용되며 사용되기 시작했다. * 2025년 1월 17일: 위키 엔진 개발자가 군소위키 마이너 갤러리에 글을 남기고 테스트위키가 개장되었다. [[https://gall.dcinside.com/mgallery/board/view/?id=smallwiki&no=1990| ]] * 2025년 1월 22일: the tree 엔진이 공개되었다. * 2025년 1월 27일: the tree 커밋이 1000개를 돌파하였다. == 특징 == * 코스모피디아에서 openNAMU의 단점 때문에 대체할 위키 엔진을 만들기 위해 만들었다. 그렇기에 다른 엔진을 보고 참고하지 않고 제로 베이스로 만들었다고 한다. * [[오픈나무]] 파서는 특정 문서 렌더링이 7초씩이나 걸리는데, 렌더링되는 동안 다른 유저들은 문서를 열람할 수 없는 큰 문제 때문이라고 한다. * 다른 파서의 라이선스가 GPL이라 포기하였다고 한다. * [[the seed]] 완전 모방보다는 실 사용을 위한 위키 엔진이 목표이기 때문에 이미 the seed와 다르게 구현한 부분도 존재한다. * 위키 엔진은 Node.js로 이루어져 있으며, DB와 검색 엔진을 추가로 설치해야 한다. DB는 MongoDB. * 미리 공개되어 있는 Liberty 스킨을 보면 html, css, js로만 이루어져 있는데, React, Vue를 사용하지 않은 이유는 개발자가 프론트엔드 프레임워크는 쓸 줄 모르고 백엔드 원툴이라 그렇다고 한다. == 장점 및 단점 == * 장점 * the seed를 모방한 위키 엔진 중 가장 완성도가 높다. * 나무마크 파서같이 타 위키 엔진은 특정 문법을 쓰면 엔진이 꺼지는 등 문제가 많지만 해당 엔진은 파서는 거의 완벽하다. * UI부터 각 권한의 작동 방식 등 the seed와 상당 부분 똑같다. * the seed에서 일부 불편한 부분도 모방하는 것이 아닌 개선하여 구현되어 있기 때문에 the seed보다 일부분은 더 좋은 부분도 존재한다. * 단점 * 개발자가 the seed 권한 없이 추측으로 만든 부분이 많기 때문에 아직 the seed와 다른 부분이 있으나, the seed 사용하는 위키에서 권한을 소유하고 있는 사람과 소통을 시작하며 점점 업데이트 되고 있다. * 아직 개발이 덜 되었기 때문에 엔진의 취약점이 일부 존재하나, 점차 수정하며 개선하고 있다.[* 굳이 취약점을 작동하지는 말 것.] == 하위 문서 == 1. [[the tree/설치 방법]] 1. [[the tree/위키 구축]] == 사용 위키 == [include(틀:the tree 사용하는 위키)] === 기록 === * the tree 1번째 사용 위키: [[코스모피디아]] * 코스모피디아가 사용하는 openNAMU를 대체하기 위해 the tree를 제작했으니 어쪄면 당연한 일이다. * the tree 1번째 테스트 위키: [[테스트위키]] * the tree 개발자가 직접 설립한 특징이 있다. * 일반 사용자가 1번째로 개방한 위키: [[하늘위키|하테위키]] * the tree 개발자와 연관이 없는 위키이며, the tree가 공개되기 전 개방되었다는 특징이 있다. * the tree 공개 이후 1번째로 정식 위키에 사용한 위키: [[다올위키]] * 코스모피디아와 같이 openNAMU DB를 마이그레이션 했다는 특징이 있다. == 링크 모음 == * 엔진 Github [[https://github.com/wjdgustn/thetree| ]] * 스킨 테스트용 엔진 [[https://github.com/wjdgustn/thetree-skin-tester| ]] * the tree 스킨 * [공식] Liberty [[https://github.com/wjdgustn/thetree-skin-liberty| ]] * bita [[https://github.com/theseeduse/thetree-skin-bita| ]] * clue ,,개발되지 않음,, * Central[*비공개 공개되지 않은 스킨이다.] [[https://github.com/Wikive/thetree_central| ]] * sonagu[*비공개]
im preview
요약
문서에 기여한 것을
다올위키 라이선스 정책
으로 배포하고, 저작자 표시를 문서 역사란에 표기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는 것에 동의합니다.
이 동의를 철회하지 않겠습니다.
비로그인 상태로 편집합니다. 로그인하지 않은 상태로 문서 편집을 저장하면, 편집 역사에 본인이 사용하는 IP(3.138.137.244) 주소 전체가 영구히 기록됩니다.
저장
사용자
3.138.137.244
IP 사용자
로그인
회원가입
최근 변경
[불러오는 중...]
닫기
사용자 문서
문서 기여 내역
토론 기여 내역
(없음)
×
설정
위키
토론
스킨
테마
자동 (시스템 설정)
라이트
다크
각주 표시 형식
브라우저 기본
팝오버
팝업
상대 시간 표시를 사용하지 않음
사용
내비게이션 바 고정
사용
사이드바 설정
기본
숨김
하단 표시
사용자 사이드바 끄기
사용